TIL-23-02-20
Updated:
JVM의 메모리 구조
-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JVM은 시스템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받고 JVM은 이 메모리를 용도에 따라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1. 메서드 영역
- 클래스 정보와 클래스 변수가 저장되는 곳
- 프로그램 실행 중 어떤 클래스가 사용되면, JVM은 해당 클래스의 클래스파일(*.class)을 읽고 분석하여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이곳에 저장한다.
2. 힙
-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공간. 즉, 인스턴스 변수들이 생성되는 공간
3. 호출스택(call stack 또는 execution stack)
- 메서드의 작업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제공한다.
- 메서드가 호출되면, 호출스택에 호출된 메서드를 위한 메모리가 할당되며 이 메모리는 메서드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지역변수(매개변수 포함)들과 연산의 중간결과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 메서드가 작업을 마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는 반환되어 비워진다.
호출스택의 특징
- 메서드가 호출되면 수행에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스택에 할당받는다.
- 메서드가 수행을 마치고 나면 사용했던 메모리를 반환하고 스택에서 제거된다.
- 호출스택의 제일 위에 있는 메서드가 현재 실행 중인 메서드이다.
- 아래에 있는 메서드가 바로 위의 메서드를 호출한 메서드다.
기본형 매개변수와 참조형 매개변수
- 자바에서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로 지정된 값을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복사해서 넘겨준다.
- 매개변수 타입이 기본형일 때는 기본형 값이 복사되겠지만, 참조형이면 인스턴의 주소가 복사된다.
기본형 매개변수 변수의 값을 읽기만 할 수 있다.
참조형 매개변수 변수의 값을 읽고 변경할 수 있다.
- change 메서드가 호출되면서 ‘d.x’가 change 메서드의 매개변수 x에 복사됨
- change 메서드에서 x의 값을 1000으로 변경
- change 메서드가 종료되면서 매개변수 x는 스택에서 제외됨
- change 메서드가 호출되면서 참조변수 d의 값(주소)이 매개변수 d에 복사됨
- change 메서드에서 매개변수 d로 x의 값을 1000으로 변경
- change 메서드가 종료되면서 매개변수 d는 스택에서 제거됨
- main 메서드의 참조변수 d와 change 메서드의 참조변수 d는 같은 객체를 가리키게 된다.
- 따라서 매개변수 d로 x의 값을 읽는 것과 변경하는 것이 모두 가능한 것이다.
참조형 반환타입
- 매개변수 뿐 아니라 반환타입도 참조형이 될 수 있다.
static Data Copy(Data d){ Data tmp = new Data(); //새로운 객체 tmp를 생성한다. tmp.x = d.x; //d.x의 값을 tmp.x에 복사한다. return tmp; //복사한 객체의 주소를 반환한다. }
- copy 메서드 내에서 생성한 객체를 main 메서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려면, 이렇게 새로운 객체의 주소를 반환해줘야 한다.
- 그렇지 않으면 copy 메서드가 종료되면서 새로운 객체의 참조가 사라지므로 더이상 이 객체를 사용할 수 없다.
- 반환타입이 ‘참조형’이라는 것은 메서드가 ‘객체의 주소’를 반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귀 호출
- 메서드의 내부에서 메서드 자신을 호출하는 것.
- 재귀호출을 하는 메서드를 ‘재귀 메서드’라 함.
재귀 호출의 특징
- 재귀호출은 반복문과 유사한 점이 많으며, 대부분의 재귀호출은 반복문으로 작성 가능함.
- 재귀호출은 반복문보다 수행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비효율적.
- 반면 알아보기 쉽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어 논리적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적고 추후 수정도 용이하여 사용에 이점이 있음.
- 재귀호출에 드는 비용보다 재귀호출의 간결함이 주는 이득이 충분히 큰 경우에만 사용해야 함.
팩토리얼 구하기
- 팩토리얼이란? 재귀호출의 대표적인 예로, 한 숫자가 1이 될 때까지 1씩 감소해가면서 계속 곱해 나가는 것.
f(n) = n * f(n-1), 단 f(1) = 1 //팩토리얼을 수학적 메소드로 구현한 것
- 위의 메소드를 자바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class Factorial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result = factorial (4); System.out.println(result); } static int factorial(int n){ int result = 0; if (n == 1) result = 1; else result = n * factorial(n-1); //다시 메서드 자신을 호출한다. return resul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