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서버란 무엇일까?
Updated:
👩🏻💻 Spring Master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여러 대의 컴퓨터 또는 장비가 서로 연결되어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컴퓨터,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의 장비들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습니다.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게 됩니다.
왜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나?
백엔드 개발자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즉, 서버를 개발하게 됩니다. 사용자의 요청에서 시작해 서버에 도착하고 다시 사용자에게 되돌아가는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있다면 서버 개발에 큰 도움이 됩니다.
Client와 Server
Client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이 서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버의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이 해당 서버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제공되는 정보가 바로 IP 주소입니다.
- IP 주소는 거대한 네트워크망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 주소입니다.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은 이 주소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를 택배에 비교해보자면 택배를 받기 위해선 실제 주소와 받는 사람을 알려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서도 정보를 요청받고 전달하려면 주소에 해당하는 IP와 받는 사람에 해당하는 포트번호를 알려줘야 합니다.
웹 서버란?
웹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웹상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응답해주는 통신을 하는 일종의 컴퓨터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이나 SNS 등 대부분의 서비스는 웹 서버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 서버의 기본 동작 원리
- 브라우저를 통해 HTTP Request로 웹사이트를 웹서버에 요청합니다.
- 이후 웹서버는 요청을 승인하고 HTTP Response를 통해 웹사이트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전송합니다.
- 마지막으로 브라우저는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이용해 웹사이트를 브라우저에 그려내는 일을 합니다.
- 기본적으로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요청을 할 때는 항상 GET Method로 요청하게 됩니다.
API란?
API는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합니다.
개발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도록 API를 표시하거나 생성합니다.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동작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RESTful API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는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REST는 처음에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지침으로 만들어졌습니다.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를 REST API라고 합니다.
REST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 웹 서비스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PI의 리소스 식별자를 중복 없이 고유하게 만들고, 해당 API에 적절하게 HTTP 메서드를 사용했다면 RESTful하게 설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Apache Tomcat이란 무엇일까?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여 어떠한 페이지를 요청했을 때 HTTP의 요청을 받아들여 HTML 문서와 같은 정적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Web Server입니다.
- Web Server의 역할을 크게 2가지로 구분해보면
- 정적인 콘텐츠 즉, 이미 완성이 되어있는 HTML과 같은 문서를 브라우저로 전달합니다.
- 브라우저로부터 ‘로그인하여 MyPage를 요청’과 같은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 웹 서버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우므로 해당 요청을 WAS에 전달합니다.
- 종류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
WAS는 웹 서버와 똑같이 HTTP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웹 서버에서 할 수 있는 기능 대부분을 WAS에서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WAS를 사용하면 로그인, 회원가입을 처리하거나 게시물을 조회하거나 정렬하는 등의 다양한 로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 종류로는 Tomcat, JBoss 등이 있습니다.
Apache Tomcat이란?
Tomcat은 동적인 처리를 할 수 있는 웹 서버를 만들기 위한 웹 컨테이너입니다.
Apache Tomcat이란 Apache와 Tomcat이 합쳐진 형태로 정적인 데이터 처리와 동적인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해줄 수 있습니다.
SpringBoot와 Spring
Spring Framework는 AOP, IoC/DI와 같은 강력한 핵심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핵심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너무나도 많은 xml 설정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SpringBoot가 등장했습니다.
- SpringBoot는 기존의 xml 설정 대신 Java의 애너테이션 기반의 설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떄문에 무겁고 작성하기 힘들던 xml 대신에 애너테이션을 사용해 아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설정 정보들을 default로 하여 자동으로 설정해주고 있습니다.
- 또한 외부 라이브러리나 하위 프레임워크들의 의존성 관리가 매우 쉬워졌습니다.
기존에는 외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버전들의 호환성을 직접 확인해가면서 의존성을 설정해야 했지만
SpringBoot에서는 spring-boot-starter-web
처럼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들과 프레임워크들을 의존성에 맞게 starter로 붂어서 제공해 줍니다.
따라서 이전처럼 각각의 버전 호환성을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SpringBoot의 강력한 점 중 하나가 바로 내장 Apache Tomcat입니다. Spring Framework에서는 서버를 실행시키기 위해 Apache Tomcat을 직접 다운로드 받고 설정하고 프로젝트에 삽입했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 starter-web
dependency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내장형 Apache Tomcat을 제공해 줍니다.
Postman이란?
Postman이란 API 개발을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API 즉, 약속에 맞춰서 HTTP 요청을 서버에 보내고 응답을 확인해봐야 우리가 만든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확인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 중 하나가 Postman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