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제1장 인프라 아키텍처
Updated:
👩🏻💻 기술 서적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글입니다.
질문 1) 집약형 아키텍처 사용 환경
집약형 아키텍처는 초기 비용과 유지 비용이 비싼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다. 분할형이 비용이나 안정성 측면에서나 좋은 선택지로 보이는데, 그럼에도 집약형을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환경은 어떤 것인가?
집약형 아키텍처가 쓰이는 환경은 아래와 같다.
- 금융권에서 기간계시스템 또는 계정계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대기업에서 ERP(전사적자원관리) 또는 그룹웨어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병원에서 EMR/OCS(전자의무기록, 처방전달)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대학교에서 학사정보 또는 수강신청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대부분 Transaction 예측이 가능하며, Down-time 발생시 금전적 손실과 클레임 발생이 높은 환경이다.
집약형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성능과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아키텍처는 단순하고 폐쇄적이며, 대부분의 구간을 제조사가 자체 제작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사는 하드웨어 설계부터 운영체제 및 서비스까지를 통합하여 완성도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아이폰과 같은 제품에서 볼 수 있는데, 아이폰은 충전 케이블부터 운영체제까지 애플사가 자체 제작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폐쇄성은 번거로움과 비용을 야기할 수 있지만, 제품에 대한 품질과 신뢰는 흔들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집약형 아키텍처는 비용이 높고 유지 보수 비용도 상당히 크지만, 안정성과 신뢰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스템이다.